![]() |
구미시민운동장 육상트랙 분리 발주한 2개의 업체는 서로 부실의혹을 상대 업체에게 떠넘기고 있어 책임 소재를 규명하는데도 논란이 예상된다. gbp1111@naver.com 사진= 구미시 체육회 |
[경북정치신문=김성현기자] 전국체전에 대비해 시공한 구미시민운동장 육상트랙이 부실 공사 의혹을 받고 있다. 대한 육상연맹 관계자는 지금의 부실상태로서는 공인 육상트랙으로 승인을 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당초 2020년 전국제전을 앞두고 2019년 10월 분리 발주에 들어간 토목업체와 트랙업체는 시민운동장 육상트랙 공사에 들어갔다.
전면 보수 예산만도 20억 원을 웃돌 정도였다. 이어 2021년 8월에는 주경기장과 준비 운동장의 바닥재 재질과 제품이 같아야 한다는 육상 공인 규칙에 따라 하자보수에 들어가는 등 공사 기간 내내 잡음이 끊이지 않았다.
이와 관련 구미시 체육회 관계자는 부실 의혹을 사는 주요 원인으로 시민운동장 트랙 공사에는 많이 쓰지 않는 장판 방식을 사용했기 때문이라면서 지금의 상태로는 보수 공사를 한다고 해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고 지적했다.
![]() |
대한 육상연맹 관계자는 지금의 구미시민운동장 육상트랙 부실상태로서는 공인 육상트랙으로 승인을 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gbp1111@naver.com 사진=경북정치신문 |
이처럼 부실 공사 의혹이 일고 있는 가운데 분리 발주를 했던 2개 업체는 서로 책임을 떠 넘기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추진단 관계자는 소년 체전이 끝나고 문제점을 찾아 보수한다는 계획이지만 대한 육상 연맹측은 지금의 부실 상태로서는 공인 육상 트랙으로 승인해 줄수 없다는 입장이어서 소년 체전에 참가한 선수들이 획득한 성적이 공인을 받을 수 없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이처럼 문제가 발생하자, 분리 발주한 2개의 업체는 서로 부실의혹을 상대 업체에게 떠넘기고 있어 책임 소재를 규명하는데도 논란이 예상된다.
한편 부실의혹이 일고 있는데도 공사를 중단시키는 등 대책을 마련했어야 할 기술감리에 대한 책임규명도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 |
대한 육상연맹 관계자는 지금의 구미시민운동장 육상트랙 부실상태로서는 공인 육상트랙으로 승인을 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gbp1111@naver.com 사진=경북정치신문 |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