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 구미 금오산 자연보호 발상지 표지석 사진=경북정치신문 |
[경북정치신문=이관순기자] 자연보호운동 발상지 구미가 자연보호운동과 관련한 지원사업에 손을 놓다시피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9월 환경보호정책과 행정사무 감사에서 김영태 의원은 25개 읍면동 분회에 3백여 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으나 ‘자연보호운동 발상지 구미’에 걸맞는 사업은 초라하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특히 자연보호운동기념관을 마련하기는커녕 탄소제로교육관에서 더부살이하는 현실이 말이 되느냐고 따졌다.
장세구 의원은 또 한국 근대화를 주도한 정책은 새마을운동과 자연보호운동이었는데도 불구하고 관련 사업은 보잘 것 없다“면서, 하물며 지산 앞산에 세워놓은 ‘자연보호운동 발상지 구미’ 표지판도 잡풀에 가려 보이지 않은 만큼 관심이 없다고 비판했다.
특히 자연보호운동으로 비롯된 ‘그린벨트 지정 국책 사업’은 녹색 한국을 만든 토대였다며, 미온적인 구미시의 대응 노력을 탓했다.
이들 의원의 지적처럼 자연보호운동을 위해 구미시가 추진하는 사업은 보잘 것 없다. 2022년의 경우 ▲신자연보호 및 녹색 시민의식 확산 운동(시비 576만 원, 자부담 116만 원) ▲자연보호 활동 지원 (시비 4백만 원, 자부담 1백만 원)▲자연보호운동 교육 및 홍보 사업 (시비 5백40만 원, 자부담 1백만 원) 등에 소요되는 총 사업비는 1천 796만 원이다. 이 중 자부담을 제외한 시비 지원은 1천 480만 원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외에 자연보호운동 백일장이 있으나 2019년을 끝으로 코로나19로 중단된 상태다.
관련한 시설물도 지산 앞들에 세워져 있는 ‘자연보호발상지 구미’입간판과 금오산 입구에 세워놓은‘자연보호운동 발상지’표지석, 대혜폭포에 세워놓은 소형 입간판에 불과하다.
특히 소중한 구미의 유산인 자연보호운동의 전국적인 확산을 위해 ‘자연보호운동기념관’을 건립해야 한다는 여론에 밀린 구미시는 2015년 ‘울며겨자 먹기식’으로 경북환경연수원 내 탄제로교육관 2층에 생색을 냈다.
구미시 차원에서 자연보호운동기념관 건립이 공식적으로 논의된 것은 2003년 11월 23일이었다.
이날 자연보호 구미시협의회 회장을 맡고 있던 당시 곽용기 구미시의회 의원은 이날 시정질문을 통해 자연보호 운동의 발상지인 금오산 도립공원은 온 국민을 대상으로 한 자연보호 운동의 산교육장으로서 역할을 다하기 위해 자연보호 시설물의 설치, 오물 쓰레기 수거 캠페인을 거쳐 자기 쓰레기를 자기가 되가져 가기 등의 시책의 산실이 이었다,
또 전국 단위의 각종 자연보호 행사 개최와 자연보호 백일장 등을 통해 자연보호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고 전제하면서 자연보호운동기념관 건립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답변에 나선 당시 행정지원국장은 자연보호운동 발상지로서 긍지와 위상을 확립하기 위해 수년 전부터 자연보호 운동 중앙협의회와 공동으로 환경부 관계과와 수차례에 걸쳐 협의를 했으나, 결과를 도출하지 못했다면서 향후 박 대통령 기념사업과 연계한 자연보호운동 기념관 건립을 통해 자연보호운동 관련 자료를 함께 전시하도록 하는 등 자연보호운동 발상지로서의 위상을 정립해 나가겠다고 답했다.
하지만 그로부터 20년이 가까워오지만 약속은 지켜지지 않고 있다.
이관순 기자 gbp1111@naver.com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