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나라 면허 간호사 53만여 명 중 실제 의료 현장에서 활동하는 인력은 61%에 불과해 OECD 최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
[경북정치신문=이세연 기자] 최근 조사에 따르면 경력 단절 간호사가 2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중 현장에서 실제로 활동 중인 간호사는 전체의 61%에 불과해 의료 인력 공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보복복지부와 간호 관련 단체에 따르면, 면허를 보유한 간호사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나, 상당수가 임신, 출산, 육아, 열악한 근무 환경 등의 이유로 경력이 단절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근속연수 5년 이하 간호사들의 이직률이 높은 것으로 드러나 구조적인 문제를 반영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간호사 부족 현상이 단순히 인력 수급의 문제가 아니라 근무 환경 개선, 경력 단절자 재취업 지원, 직무 적응 프로그램 마련 등 종합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보건의료 정책연구원 관계자는 “경력 단절 간호사가 다시 현장에 복귀할 수 있도록 유연근무제, 재교육 프로그램, 육아 지원책을 강화해야 한다”며 “현장의 숙련된 간호 인력 부족은 곧 환자 안전 문제와 직결되는 만큼 국가적 차원의 대응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세연 기자 gbp1111@naver.com
사진=현미녹차 블러그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