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번 간담회는 구미 정치가 어디로 갈 것인가를 가늠하는 중요한 시금석이다. |
[경북정치신문=이관순 기자] 구미시와 더불어민주당 시의원들이 정책간담회를 열었다. 표면적으로는 지역 현안을 논의하는 자리였지만, 정치적 합의를 따져보면 이번 만남은 구미가 ‘협치의 시험대’ 위에 올라섰음을 보여준다.
그동안 구미의 정치는 특정 정당의 우세에 기대어 일방적 구도가 이어져 왔다. 행정은 의회 다수당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었고, 의회는 집행부 견제보다 정당 논리에 매몰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 과정에서 시민의 삶과 직결된 현안은 뒷전으로 밀려나기 일쑤였다.
이번 간담회가 주목되는 이유는 바로 이 고리를 끊으려는 시도이기 때문이다. 행정과 의회가 ‘여야를 넘어선 협력’을 전면에 내세운 것은 단순한 정치 이벤트가 아니다.
지역이 풀어야 할 핵심 현안들이 그렇다. 구미문화선도산단 조성, 경제자유구역 지정, 푸드테크 클러스터 조성, 동구미역 신설 같은 현안들은 여야가 따로 존재할 수 없는, 지역 생존의 문제이기 때문이다.
물론 간담회 한 번으로 협치가 완성될 수는 없다. 정치권은 종종 이런 자리를 보여주기식으로 만들고, 실제 정책 이행 단계에서는 다시 당리당략으로 회귀하는 모습을 반복해왔다.
이번에도 그런 ‘반복된 실망’으로 끝난다면, 협치라는 이름은 시민들에게 공허한 수사에 불과할 것이다.
하지만 구미가 지금 처한 현실은 더 이상 정당 논리에 머물 수 없는 상황이다. 지역 인구 감소, 산업 위기, 수도권 집중이라는 삼중고를 넘어서기 위해서는 행정과 의회가 공동 책임을 지는 정치적 협치가 필수적이다.
정치가 지역민을 위한 실질적 해법을 내놓는 구조로 전환되지 않는다면, 구미의 미래는 더 깊은 정체의 늪에 빠질 수밖에 없다.
이번 간담회는 구미 정치가 어디로 갈 것인가를 가늠하는 중요한 시금석이다. 협치의 의지를 선언하는 데서 멈추지 말고, 그 약속이 실제 예산과 정책으로 이어지는지를 시민 앞에 증명해야 한다.
"협치는 구호가 아니라 행동이고, 책임이다". 구미 정치가 이 원칙을 실천해낼 때 비로소 ‘정치의 정상화’가 시작될 것이다.
이관순 기자 gbp1111@naver.com
사진=경북정치신문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