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미상공회의소 구미상공회의소 사진 제공 |
[경북정치신문=이관순기자] 2010년 이전 수출 1위 자리를 지켜오던 구미가 2010부터 충남 아산에 수출 1위 자리를 추월당한후 수출 격차 점점 벌어지고 있으며. 고용 인원은 아산에 비해 2.3배 더 많지만 2015년부터 고용 인원도 격차가 점점 더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부터 2009년까지 구미 수출액은 기초지자체 중 꾸준히 1위를 지켰으나 2010년 아산이 347억 58백만 불, 구미가 295억 28백만 불로 아산에 1위 자리를 내어주었다.
구미 수출액은 2013년 최고치(363억 불) 달성 이후 연평균 8.5%씩 지속적으로 감소한 반면, 아산은 2000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9.2%씩 증가하였고, 2018년 646억 불로 최고치를 경신하였다.
2020년 품목별 수출을 살펴보면 구미의 경우 무선통신기기가 31.6%, 반도체가 11.5%, 광학기기가 10.9%를 각각 차지하며 총 195억 불을 기록하였고, 아산은 반도체 61.9%, 평판디스플레이 및 센서 16.6%, 컴퓨터 13.1%를 각각 차지하며 총 590억 불을 기록, 구미의 3배를 상회하였다.
또한 구미와 아산의 국가산단 지정 면적은 구미(1~5단지)가 약 1,100만 평, 아산이 약 542만 평으로 구미가 아산에 비해 2배 이상 넓으며, 인구는 2020년 구미 416,328명, 아산 316,129명으로 10년간 구미는 연평균 0.3%, 아산은 1.8% 각각 증가하였다.
2020년 평균연령은 구미 39.4세, 아산 40.3세로 아산의 평균연령이 0.9세 더 높으나 2013년 평균연령 대비(구미 35.0세, 아산 36.8세) 구미는 4.4세, 아산은 3.5세 각각 증가하여 구미의 고령화 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구미산업단지 고용 인원은 85,668명으로 아산(37,550명)에 비해 2.3배 더 많지만 2015년부터 연평균 3.7% 감소한 반면, 아산은 연평균 3.4% 증가하였다.(2015년 구미 103,610명, 아산 31,777명)
한편, 본사 소재 기준 지난해 매출액이 1천억 원을 상회하는 업체는 구미 21개사, 아산 42개 사로 아산이 구미의 두 배로 나타났다. 기업별 세부 매출액 현황으로는 구미 기업의 1천억 원 이상 5천억 원 미만 기업은 18개사이며, 5천억 이상 3개 사로 아산의 1천억 이상 5천억 미만 38개사, 5천억 이상 4개 사로 분석되었다.
구미상공회의소 윤재호 회장은 지난해 우리나라 반도체 수출은 992억 불로 우리나라 전체의 20%에 육박하며 향후 수도권 K-반도체 벨트형성 시 수도권과 지방 격차는 더 심화될 것으로 보여 제2·제3의 구미형 일자리는 물론, 법인세 지방 차 등 제 등 국가 균형 발전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