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경북정치신문 |
노후 건물 개선, 냉난방기와 화장실, 재난위험시설과 내진보강, 놀이공간과 융합교육교실 등에 대한 개선이 핵심이다.
이에대해 학교환경을 위해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는 것은 의미있지만 노후건물 개선, 국고 투입이나 재정 규모, 미세먼지 대응, 범죄예방 환경설계, 탈의실 등 부족한 학생시설 계획에 대해서는 추가 검토 및 수정 보완이 있어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정의당에 따르면 30년 넘은 노후건물 중 2.2%의 개축은 2만 3천 136동 중 500동만 개선하겠다는 것이다. 80년대에 급하게 지어진 곳이 많아 1/3이 30년 넘었는데도 불구하고 노후건물의 2.2%만 개선하도록 하는 계획안은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또 투입하는 18조 8천억원은 모두 교부금으로서 국가 차원의 중장기계획을 국고 없이 교부금으로만 하겠다는 발상도 현실적이지 못한 것으로 지적됐다.
아울러 미세먼지로부터 안전한 학교를 만들기 위해 기계환기설비 등 공기정화장치 설치를 확대해야 하는 상황에서 시도교육청의 공기청정기 구비 이외의 방안들이 필요한데도 불구하고 개선 계획에는 해당 내용이 없는 것으로 지적됐다.
또 안전한 학교, 미래사회에 맞는 공간을 위해서는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가 필요한데도 불구하고, 학교폭력 예방이나 안전한 배움터를 위한 방안 역시 중장기 계획에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