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 직거래 장터 확대, 행감 지적 불구 요지부동
↑↑ 금요 직거래 장터
법적근거까지 마련해 줬지만
최경동 의원 ‘의지 없는 것 같다’ 비판
농업인과 소비자인 구미시민의 윈윈차원에서 직거래 장터를 확대하라고 요구해 온 구미시의회 의원들이 선산출장소 유통과가 미온적으로 대응하자,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지난 10일 유통과에 대한 의회 산업건설위의 행정사무감사에서 최경동 의원은 2018년 행정사무감사 당시부터 직거래 장터를 확대하라고 권고해 왔으나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면서 요지부동 행정을 겨냥했다. 심지어 ‘의지가 없는 것 같다’는 지적까지 할 정도였다.
![]() |
↑↑ 최경동 의원 |
최의원은 또 외부상인들이 점유하다시피 하고 있는 선산5일장을 활용해 직거래 장터를 운영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하는 등 농업인들의 소득향상을 위한 적극적인 행정을 펼치라고 요구하기까지 했다.
이에 대해 유통과는 직거래 장터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장소 선정등의 문제가 놓여 있다면서 신중히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의원들은 직거래 장터 확대에 대한 유통과의 입장이 때와 상황에 따라 바뀌는 등 일관성이 없다고 비판했다.
지난 3월11일 ‘구미시 로컬푸트 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안을 심사한 의회 산업건설위에서 윤종호 의원은 매주 금요일 개장하는 금요 직거래 장터를 확대하라고 요구했다. 젊은 층의 수요가 많은 옥계와 산동지역으로 확대할 경우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취지였다.
그러나 당시 선산출장소 측은 농업인과 소비자인 구미시민이 윈윈하는 차원에서 좋은 취지지만 법적 근거가 없어 직거래 장터를 확대하는데는 한계가 있다면서 조례안이 통과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요구했다.
시민에게 안전하고 우수한 품질의 지역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농업인에게 안정적 판로 확보를 통해 소득안정을 도모한다는 취지로 제출한 조례안이 의결되면 직거래 장터를 확대할 수 있다는 의미였다.
그러나 이러한 취지를 수용해 의회가 법적근거를 마런해 주었지만, 직거래장터에 대한 유통과의 대응이 제자리 걸음을 하면서 최의원이 ‘ 의지가 없는 것 같다’고 강하게 비판을 하고 나선 것이다.
한편 금요 직거래장터자치운영위원회가 주관하고 지역 농축협의 후원으로 지난 2011년 9월 2일 개장한 직거래 장터는 같은 기간 개장한 전국 8개 시군 중 가장 활성화 되었다는 평가와 함께 전국 최고 실적을 마크하면서 타시군의 벤치마킹 장터로 자리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