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출과 투자가 부진에 빠진 게 원인이다. 전 분기 대비 수출증가율은 -2.6%로 후퇴했고,설비투자증가율은 무려 -10.8% 추락했다. 외환 위기 당시인 1998년 1분기의 -24.8% 이후 21년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26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시중은행장들과 가진 금융협의회에서 마이너스 성장의 주된 원인을 기업의 투자부진으로 꼽았다. 이러면서 실물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기업 투자에 활력을 불어넣는 정책 추진을 제시했다.
정치권에서도 정부의 정책에 대한 강도 높은 비판이 쏟아졌다. 특히 바른미래당 이종철 대변인은 26일 “우리 경제의 어려움과 서민 고통의 모든 책임은 문재인 대통령에게 있다”며 강공을 날렸다.
또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2분기와 하반기에는 나아질 것이라고 하고, 장하성 전 청와대 정책실장은 소득주도성장 효과가 연말쯤 나타날 것이라고 했다면서 ‘양치기 소년’이 되어간 경제사령탑을 바꾸었지만 ‘희망 고문’은 바뀐 게 없다고 비판했다.
이 대변인은 특히 경제 성장은 마이너스지만, 생활필수품 38개 품목 중 21개 품목이 상승하는 등 서민 물가는 계속 오르고 있다면서 이명박 정부 당시 발동했던 ‘물가 특별 대책’ 같은 소식도 들리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 “서민의 고통과 시름은 깊어만 가는데, 주류세 인상으로 퇴근 후 소주 한 잔 하기도 무서워졌다”면서 “소득주도성장에 ‘소득’이 없고, 불평등 해소한다면서 소득, 일자리, 부동산 등 모든 면에서 최악의 양극화 결과를 갱신하고 있는 정부지만, 경제 정책을 전환한다는 말은 정부 출범 후 단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다”고 일갈했다.
또 “왜 대통령의 말은, 늘 현실과 동떨어져 있는가.정부 출범 2년 동안 국민들은 수없이 반복된 ‘거꾸로 된 말’들을 통해 단 하나 분명하게 인식한 게 있다.모든 책임은 문재인 대통령에게 있다는 사실”이라면서 “일일이 나열할 것도 없이 현실과 동떨어진 대통령의 진단과 인식, 고집불통, 유체이탈 화법을 수없이 봤다”고 비판을 이어갔다.
이러면서 “처음에는 정책 실무자들이 대통령의 눈과 귀를 가리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청와대나 경제부처 등 경제사령탑 책임도 아닌 것 같다”면서 거듭 “문재인 대통령이 이 모든 어려움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런 가운데 한국갤럽이 지난 23~25일 전국 성인 1003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26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직무수행에 대한 긍정평가는 44%로 집계됐다. 부정평가는 47%로 전주보다 5%포인트 늘었다. 9%는 의견을 유보했다.
부정평가 이유로는 ‘경제•민생 문제 해결 부족이 36%였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