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2곳, 일부 중견기업도 대상자로 거론
↑↑ ↑↑ 19일 오후 청와대 춘추관 브리핑룸에서 열린 일자리 수석 간담회에서 정태호 수석이 발언하고 있다/ 청와대사진 기자단 제공
◇국•도비 확보, 5공단 임대단지 확장도 장점 작용
구미 상생형 일자리가 이달 말 경 확정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된다. 둘러싼 재료들을 조합해 보면 사실상 확정단계에 들어선 것이 아니냐는 긍정적인 관측을 낳게 한다.
장세용 구미시장 일행이 청와대 비서실을 방문한 17일, 구미시의 협력요청에 대한 비서실의 긍정적인 화답과 이틀 후인 19일 청와대 정태호 일자리 수석의 발언을 취합하면 예상은 결코 추상적이지 않다.
지난 17일 배정미 경제기획국장, 허용석 구미전자정보 기술원 구미정책연구소장과 함께 청와대 비서실을 방문한 장 시장은 구미형 일자리 창출 조기 확정과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전부지 확정 등 구미현안에 대한 정부차원의 관심과 협조를 당부했다.
이에 대해 일자리 수석등은 “구미의 심각한 경제상황에 공감한다. 일자리 창출 뿐만 아니라 신산업 유치 등을 통한 경제위기 극복 방안도 중요하다”면서 정부차원의 지원을 약속했다.
그로부터 이틀 후인 19일 기자간담회에서 정태호 수석은 “지역 일자리 확보차원에서 이달 중 제2의 광주형 일자리 지역도 확정할 예정이다. 6월 이전에 제2의 광주형 일자리가 한 두 곳에서 성과가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구미형 상생일자리를 염두한 발언이라는 데 의심이 여지가 없다.
그는 또 “보다 강력한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제조업 르네상스 정책을 강력히 추진하면서 신산업-신기술 분야 일차리 창출을 위한 제2의 벤처붐과 혁신 선도 사업정책의 속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구미상생형 일자리가 확정될 경우 국비는 물론 도비 확보가 가능하게 되고, 대기업이나 중견기업 유치가 순조로울 수 있도록 5공단에 임대단지를 확장할 수 있는 법적 여건이 조성된다.
구미 상생형 일자리와 관련 대기업 2곳과 함께 일자리 창출 효과가 대기업에 비해 양호한 중견기업이 그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