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을 통해 유의원은 “중국이 사드배치에 대해 경제 보복을 했을 때 대통령 보여준 저자세, ‘오지랍이 넓다’는 수모를 당하면서 비핵화를 위해 김정은에게 보여 준 저자세를 국민은 기억한다”면서 “역사와 주권은 타협할 수 없지만, 경제와 안보를 위해서는 협력해야 할 이웃이 일본이다. 중국과 북한에게는 한없이 부드러운 대통령이 일본에 대해서는 그렇게 강경 일변도인 이유가 무엇이냐”고 주장했다.
그는 또 “일본의 경제보복을 외교로 해결하기 위해 대통령은 중국과 북한을 대하는 태도의 절반이라도 보여줄 수는 없는가”라면서 “민족 상잔의 6.25를 일으켰던 북한과도, 그 전쟁에서 북한의 편에 섰던 중국과도 국익을 위해 협력하고 있는 것이라면, 일본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국익을 위해 과감하고 대담한 변화를 생각할 수 있어야 한다”며 외교를 통한 문제 해결을 거듭 촉구했다.
유의원은 특히 “일본의 경제보복과 중국의 경제보복은 그 본질이 다르다”면서 “중국과 싸우면 시장을 잃지만, 일본과 싸우면 생산을 못한다.우리가 일본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소재, 부품, 장비는 한마디로 일본 기술경쟁력의 결정체”라며 “ 체질과 구조가 바뀌지 않는 한, 우리 기술력이 일본을 능가하지 않는 한, 우리는 일본의 경제보복에 그만큼 취약하다”고 밝혔다.
또 일본에 대해서도 “우리 대법원의 판결을 두고 경제보복에 나선 일본의 비이성적인 행태는 치졸하고 비난받아 마땅하며, 일본이 정상적인 국가라면 당장 철회해야 한다”면서 “그러나 일본은 반성과 철회는 커녕 힘으로 밀어부칠 태세인 만큼 아베의 치졸한 경제보복이 아무리 밉고 화가 나더라도, 대통령은 일본과의 강대강 확전이 우리의 국가이익에 부합하는지를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