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선산지역과 관련된 주요 현안이 발생할 때마다 양진오 의원은 논리적 접근 방식을 통해 잘못된 행정을 바로 잡아왔고, 관철시켰다. 평가할 일이다.하지만 양의원의 선산관련 현안에 대한 집착은 지역이기주의적 발상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할 일이 아니다.
선산읍이 선산군의 군소재지였을 당시 지금의 구미시는 구미면에 불과했다. 하지만 산업화의 물결이 급속하게 밀려들면서 선산군의 위상은 위축되었고, 상대적으로 탄력을 받은 구미면은 구미읍 승격, 구미시로의 성장에 이어 결국에는 선산군을 흡수하는 통합 구미시로 위세를 키워왔다.
반면 구미면의 급속한 성장세에 눌려 위축되기 시작한 선산읍은 ‘조선인재의 반이 영남이요, 영남인재의 반이 선산’이라는 과거의 영화가 무색할 만큼 초라한 상황에 놓여있다.인구 3만의 군청소재지를 자랑하던 구미지역 정신문화의 중심지인 선산읍은 지금, 인구 1만5천을 겨우 사수하기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다.
이러한 굴절과 굴욕의 역사를 익히 알고 있는 양진오 의원이 쇠태일로의 선산을 더욱 더 소외시키는 행정행위에 대한 날선 대응을 지역이기주의적 발상으로 폄하해서는 안된다. 그만한 이유가 있다.
2015년 4월 구미시는 형곡동 소재 비둘기 아파트를 매각하고 선산 교리2지구 도시개발 사업 지구 내에 공무원 아파트를 신축하자는 내용의 2015년 공유재산 관리계획안을 제출했다. 해당지역 의원들의 반발이 거셌지만 양의원은 이를 지켜냈다.
하지만 시는 또 ‘잉크물도 채 마르기’고 전인 그해 9월 공무원 아파트를 선산에 신축하자는 4월의 의결 내용을 백지화하고, ‘공무원 아파트 분양 매입’을 내용으로 하는 2015년도 공유재산 관리계획안을 제출했다. 고성과 야유가 오갔지만 양 의원은 명쾌한 논리로 험한 분위기를 제압하면서 공무원 아파트의 선산지역 신축 계획을 사수했다.
선산지역을 경시하는 행정행위는 이후에도 지속됐다. 지난 12일 시는 도시재생 계획 변경안에 대한 찬성의견을 내달라는 안건을 의회에 제출했다. 변경안이 경북도로부터 승인되면 선순위에 있던 선산지역 도시재생사업이 후순위로 내려앉게 될 상황을 피해갈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사실을 확인한 양의원은 2016년부터 2018년 3월 경북도 승인을 받기까지 2년간 준비해 온 도시재생 전략계획을 불과 몇 달만에 변경하려는 행정행위를 납득할 수 없다며 격하게 반응했다. 양 위원장은 또 지난해 11월 추경에 편성된 용역비는 도시재생 전략 계획변경 및 도시계획 활성화 수립용역이 명분이었다면서 그 당시 금오시장 주변을 추가하고, 이 때문에 선산지역의 사업순위가 후순위로 밀린다는 사실을 확인해 주었다면 관련예산을 승인했겠느냐며 언성을 높였다.
특히 양 위원장은 구미역 전면 250억, 선주원남동 일원 150억, 공단동 416억등 우선 지역에 소요되는 막대한 예산 마련도 어려운 상황에서 후순위 지역에 대한 사업이 원활하게 추진된다는 보장이 없는 만큼 금오시장 주변을 원평동 일원 사업에 포함시키되 사업순위를 변경해서는 안된다고 요구했다.
이처럼 사업우선 순위 변경과 실효성을 놓고 의회와 집행부가 대립하면서 두 번에 걸친 정회 끝에 산업건설위는 관련 안건을, 금오시장 주변등 신규 지정된 지역들이 당초계획 지역의 후순위로 편입되도록 반드시 이행한다는 수정의견으로 채택했다.양의원의 노력에 힘입은 결과였다.
행정행위는 강자보다 약자의 편에 서 있어야 한다. 그러나 약자우선, 약자보호의 행정행위는 찾아보기 힘들다. 힘의 논리가 우선시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약자 우선, 소외지역 우선의 행정행위를 실현시키기 위한 양의원의 정교하고 논리적인 접근 방식이 평가받는 이유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