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경북정치신문

‘이름없는 서민과 함께 하다 마감한 외로운 삶’..
정치

‘이름없는 서민과 함께 하다 마감한 외로운 삶’

김경홍 기자 입력 2019/07/24 09:58 수정 2019.07.24 09:58
노회찬 전 국회의원 서거 1주기 추모식

↑↑ 묘비 제막식
“노동자·서민의 땀과 눈물과 애환이 서려있는 곳” 바로 창원입니다. 수많은 보통 시민들, 비정규직 노동자들, 청년들, 자영업자들, 장애인들, 바로 이름 없는 6411번 버스 승객들. 이분들과 꼭 두 손잡고 차별 없는 세상, 정의로운 복지국가를 향해 힘차게 걸어가는 것이 노회찬의 꿈입니다“

지난 23일 오후 7시 고(故) 노회찬 전 국회의원 서거 1주기 추모식이 열린 경남 창원 성산구 한서병원 앞 광장에서 열린 ‘노회찬 서거1주기 추모문화제’에 참석하기 위해 방문한 심상정 대표는 경남도청 브리핑룸에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잔잔한 소회를 읽어내렸다.

정의당 심상정 대표와 여영국 의원등 노회찬 의원과 외로운 정치의 삶을 함께 해 온 동지와 시민등 200여명이 노 전의원 삶을 돌아본 추모제는 문화제 형식으로 진행됐다.

추모제에 참석해 조문한 김경수 경남지사는 방명록에 ‘정의가 강물처럼 흐르는 경남, 함께 만들겠습니다’는 글을 남겼고, 허성무 창원 시장은 ‘노회찬의 꿈, 창원에서 실현하겠습니다’라고 써 내렸다.

특히 이날 추모문화제는 노 전의원의 평소 즐기던 첼로연주의 선율이 잔잔하게 울려펴지면서 고인의 삶을 되돌아보는 분위기를 연출했다.
정의당과 노회찬 재단은 15일부터 28일까지 2주간을 추모기간으로 정해 다양한 추모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 서거 1주기 추모공연

◇노회찬의 삶

1956년 출생해 2018년 7월23일 생을 마감한 노회찬은 고려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한 엘리트 출신이었지만 1982년 용접기술을 배워 노동자의 삶을 택했다.

1989년 인전지역 민주노동자 연맹 사건으로 구속돼 3년 동안 옥고를 치루기도 한 그는 석방 후 노동운동가의 길을 가다가 정치에 입문, 3선 국회의원을 지냈다.

하지만 정치인으로서의 삶도 평탄치가 않았다. 2013년 독수독과 이론 ( 독이 든 나무의 열매에도 독이 있다는 뜻이다. 법에 어긋난 방법으로 얻은 증거는 증거로 인정할 수 없다는 이론이다)에 따라 의원직을 박탈당했으나 2016년 총선에서 당선됐다.

그러나 2018년 드루킹으로부터 불법 정치자금을 수수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 특검 수사가 진행되던 7월 23일 오전 9시 38분 신당동 한 아파트의 17층과 18층 사이에서 투신하면서 파란의 삶을 마감했다.

노회찬의 삶과 심상정의 삶은 닮은 점이 많다. 정치적 동지이면서 인간적 동지인 심상정 정의당 대표 역시 졸업 후 미싱사의 길을 걷다가 정치에 입문했으니 말이다.

저작권자 © 경북정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30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