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경북정치신문

시사칼럼>박정희정신과 새마을운동(13)..
오피니언

시사칼럼>박정희정신과 새마을운동(13)

경북정치신문 기자 press@mgbpolitics.com 입력 2019/09/11 13:18 수정 2020.01.30 18:35
자하문연구소장 우 종 철



올해로 새마을운동 제창 49주년이 되었다. 근면·자조·협동을 기본정신으로 한 새마을운동은 국내에서뿐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대표적인 ‘한류 정책’ 상품으로 집중적인 조명을 받고 있다.
‘새마을운동의 촉발 계기는 바로 ‘자율성의 신장’이었다. ‘나의 문제는 내가 스스로 해결하겠다’는 의지가 새마을운동의 정신적 기초다. 박정희 대통령은 그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면 정부로서 아무것도 해 줄 수 없다고 천명했다.
새마을운동은 지난 1970년 초 전국지방장관회의에서 박정희 대통령이 ‘농민, 관계기관, 지도자 간의 협조를 전제로 한 농촌 자조 노력의 진작 방안’을 연구하라는 특별지시에 의해 태동됐다.

초기 새마을운동 사업은 1970년 10월부터 1971년 3월까지의 전국 3만 3,267개 마을에 시멘트 336포대씩 무상으로 지급해 마을 단위의 환경개선사업이 주민 협동으로 추진됐다. 나눠준 시멘트의 가격이 41억 원이었던 것에 비해 그 성과는 122억 원에 달했다. 그 이후 지붕개량, 담장 바로잡기, 마을안길 정비사업은 물론 의식개혁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새마을운동으로 전개됐다.
이런 초기 새마을운동은 정부와 마을이 상호유인의 체계로 협동한 ‘농촌의 사회적 혁명’이었다.

새마을운동이 성공한 가장 중요한 이유는 ‘차등 및 선별적 지원’의 원칙 적용이다. 철저하게 ‘인센티브 시스템’에 입각해 잘하는 마을을 더 지원해주고,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마을을 배제하는 방식으로 사업이 추진됐다. 즉 ‘신상필벌(信賞必罰)의 원리’를 통해 건전한 ‘협업·협동전략’으로 경제발전을 이룰 수 있었다. 이것이 ‘박정희정신’인 것이다.
문재인 좌파 정권이 주도하는 대한민국의 현실은 어떠한가? ‘정부가 모든 것을 책임진다’는 포퓰리즘 정책과 ‘사회주의 실험’에 나라가 완전히 망해가도 있다. 청년들은 “수저에 따라 미래가 결정되는 희망 없는 사회”라고 절규하고 있다. 반면에 표를 의식해서 국민들의 책임성에 대해서는 누구도 묻지 않는다.

국외에서도 새마을운동은 2016년 11월 현재 전 세계 99개국의 7,400여 명이 한국에서 새마을운동 관련 초청교육을 받았고, 26개국 396곳의 마을에 새마을운동 시범마을이 조성됐다.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는 “북한은 도로도 내주고, 주택도 건설해주고, 학교도 만들어달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하는 얘기가 남한의 새마을운동을 여기에도 지원해달라는 얘기였다”라고 말한 적이 있다. 북한에서도 새마을운동을 인정하고 있다는 얘기다. 이처럼 새마을운동은 전 세계적으로 모범사례가 되었다.

몇 년 전 영남대학교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광복 후 국가발전에 영향을 미친 정책이 무엇이냐’ 라는 물음에 52.3%가 ‘새마을운동’이라고 대답했고, 72.9%가 ‘새마을운동을 공유할 국제기구 설립이 필요’한 것으로 응답했다.
이처럼 박정희는 우리 국민들에게 물질적, 정신적인 두 가지 유산을 남겨줬다. 전자는 한국이 경제대국이 되는 밑그림을 그린 것이고, 후자는 ‘하면 된다’ ‘할 수 있다’는 박정희정신을 남겼다. 그 중에서도 ‘근면·자조·협동’의 새마을정신은 5천년 역사상 보릿고개를 넘기는 ‘시대정신’이 되었다.

삼국지에 나오는 ‘사공명주생중달(死孔明走生仲達)’의 일화가 있다. ‘죽은 제갈공명이 산 사마중달을 도망치게 했다’는 말이다. 요즘 좌익들이 역사전쟁을 벌려 산 문재인이 죽은 박정희와 싸우고 있는 형국이다. 생과 사는 인간의 의지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역사를 지우려는 어떤 자도 박정희를 이길 수 없다.

지금 대한민국은 경제가 붕괴되고 동맹이 와해되는 총체적 위기상황이다. 이럴 때일수록 국민정신의 중심을 찾는 일이 중요하다. 새마을정신은 박정희정신의 골수(骨髓)로 우리 사회를 다시 하나로 묶을 수 있는 공동체 정신이다. 새마을운동도 시대 흐름에 맞춰 혁신해야지만, 한강의 기적을 이룬 ‘근면·자조·협동’ 의 3대 정신만큼은 정권이 백번 바뀌어도 변함없이 유지돼야 한다.
지금까지는 성남에 있는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에서 시대를 선도하는 국내 새마을지도자와 국외 세계화 지도자를 육성하고 있다. 앞으로는 새마을연수원이 새마을 중흥지인 ‘구미 새마을운동 테마공원’으로 일원화될 필요가 있다. 산업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구미시가 세계적인 도시로 재도약하는데 ‘4차산업 시대를 선도하는 새마을운동’을 원동력으로 삼으면 어떨까.

저작권자 © 경북정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30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