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경북정치신문

박정희 없는 구미공단 50주년,부시장•정책보좌관..
지방자치

박정희 없는 구미공단 50주년,부시장•정책보좌관 책임 있다

김경홍 기자 입력 2019/09/28 20:36 수정 2020.01.30 18:37
책임자의 해명과 사과로 끝날 일이 아니다

↑↑ 지난 18일 열린 구미공단 50주년 기념식에서 참석자들이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구미시 제공


사설> 구미시민은 물론 경북도민이 잔치였어야 할 구미공단 50주년이 ‘박정희 대통령 없는 50주년’기념행사였다는 비판을 받으면서 되려 갈등과 분열을 야기했다. 50주년을 계기로 어렵고 힘든 구미공단 상황을 극복할 것으로 기대했던 구미시민이나 경북도민들의 실망감이 적지 않다.

화합된 힘을 계기로 제2의 구미공단 도약을 향해 힘차게 전진하는 계기가 되었어야 할 중대행사가 진영의 논리 속에 휘감기는 원인을 제공한 누군가는 책임을 져야 한다. 책임자인 구미시장의 해명과 사과로 일이 끝날 일이 아니다. 재발 방지를 위해서도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필요가 있다.

구미시에 따르면 지난 9월11일 구미시는 부시장 주재로 공단 50주년 홍보영상 제작 최종 보고회와 시사회를 가졌다. 이 과정에서 박정희 대통령이 동영상에 한번도 등장하지 않았지만 누구도 이의를 달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외에도 공단 50주년 기념의 일환으로 기획, 출품한 프로그램 대부분이 기대치 이하였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그 원인 중의 하나로 인사 때마다 50주년 주무부서의 실무공무원들을 자주 교체하면서 지속성과 일관성을 결여케 했다는 비판과 지적이 구미시 공무원 사회에 만연돼 있다는 사실 또한 짚고 넘어야가야 할 과제다.

결국 부실하게 짜여진 구미공단 50주년 행사는 공식행사 당일의 분위기를 냉랭하게 했다. 사실상 공동책임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이철우 경북지사와 장세용 구미시장의 입장은 난처할 수 밖에 없었다.

이번 사태는 단체장의 해명과 사과에 그칠 것이 아니라 실무책임자인 부시장과 시장의 정책을 보좌하는 정책보좌관에 대해서는 응분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그래야만 유사한 사태의 답습을 막을 수 있지 않겠는가.

특히 공단 50주년 홍보영상 제작 최종 보고회와 시사회 과정에서 구미공단을 태생시킨 박정희 대통령이 동영상에 한번도 등장하지 않았지만, 어떤 문제도 제기되지 않았다는 것은 어떤 변명을 하든 구미시민과 경북도민을 물론 구미공단을 산업화의 전진기지로 만든 이들로부터 이해를 구할 수 없는 중대사안이다.
구미시가 이들에게 어떤 책임을 물을지를 시민과 도민들은 지켜보고 있다.

저작권자 © 경북정치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0
로그인후 이용가능합니다.
0 / 300
등록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름 *
비밀번호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복구할 수 없습니다을 통해
삭제하시겠습니까?
비밀번호 *
  • 추천순
  • 최신순
  • 과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