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97개 10년 공공임대주택단지 특별수선충당금 약 358억 원 적립
임차인 주택 수리·보수 위한 충당금 집행 ‘제로’
↑↑ 수선하지 않은 집./ 사진 = 김은혜 의원실 제공
[경북정치신문=국회 이관순 기자] 무주택 서민 주거 안정을 위한 ‘10년 공공임대주택’의 분양 전환 시점이 도래하고 있는 가운데, 향후 분양 전환을 통해 막대한 이익을 챙길 것으로 예상되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정작 열악한 임차인들을 위한 집수리 즉 유지관리에는 단 한 푼도 쓰지 않는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은혜 의원(미래통합당, 경기 성남시 분당갑)이 지난 2일 LH로부터 제출받은 ‘10년 공공임대주택 단지별 장기수선계획’ 자료에 따르면 전국 97개 LH 10년 공공임대주택 단지 6만 3,747세대가 장기수선계획에 의해 적립된 특별수선충당금 약 358억 원이 아직까지 단 한 푼도 집행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수선충당금은 공공임대주택의 경우 수리 보수 및 조경 비용·부대시설·복리시설을 변경하는 데 필요한 돈을 충당하기 위한 것이다. 매월 소유자인 LH가 공공주택 특별법 제50조의4 (특별수선충당금의 적립), 동법 시행령 제57조 (특별수선충당금의 요율 및 사용 절차) 및 공동주택관리법 제29조(장기수선계획)에 근거해 적립하고 있다.
문제는 관리 주체인 LH가 수선 주기 등이 수립된 장기수선계획에 따라 특별수선충당금을 활용해 주요 시설을 보수하거나 교체해야 함에도 지금까지 단 한 번의 집행도 없었다는 것이다.
공동주택관리법 시행규칙 제7조 제1항 및 제9조에 따라 수선 주기가 공사 종별로 5년에서 30년까지 다양하게 규정돼 있는데, 성남 판교·화성 동탄 등 사용승인이 10년을 넘긴 단지에도 현재까지 집행이 없어 LH의 규정 위반과 직무유기 소지가 있다는 것이 김 의원의 주장이다.
↑↑ 수선하지 않은 집./ 사진= 김은혜 의원실 제공 |
사용승인일 기준으로 10년을 넘긴 분당 판교 단지들의 경우, 저화질 CCTV, 스프링클러 하자, 벽면 불량시공 등으로 주민 안전이 심각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LH 관계자는 “10년 공공임대주택의 경우 사용승인 후 경과 기간이 얼마 되지 않아 현실적으로 주택 수선에 대한 필요성이 크지 않았던 점이 반영된 측면이 있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임대주택의 특성상 파손 및 교체의 개연성이 커 장기수선계획에 따른 수선·보수가 신속히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 중론이다. 10년 공공임대주택 분양전환을 통해 향후 막대한 이익을 누리게 될 LH가 분양 전환에만 골몰해 주거 현실을 외면하고, 임차인 주거 보호에 인색하다는 평가를 지울 수 없게 된 것이다.
실례로 2020년 7월 23일 경실련에 따르면 판교신도시 개발로 LH공사 등 공공사업자에 발생한 부당이득은 8조 2천억 원에 이른다.
이에 따라 무주택 서민을 위해 공급한 10년 공공임대주택(10년 후분양 주택)이 바가지 분양으로 인해 공기업과 민간업자의 배를 불리는 수단으로 변질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김 의원은 “특별수선충당금은 장기수선계획의 실시에 대비하고, 주택 노후화의 방지를 통해 국민 주거생활의 안정을 도모하는 데 그 목적이 있음에도 LH는 그 책임을 방기해 왔다”면서 “LH는 일각에서 우려하듯이 분양 전환을 통한 ‘집 장사’에만 골몰할 것이 아니라 임차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최선의 노력부터 다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