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로부터 호응을 얻고 있는 시책 사업이 해당 부서의 업무파악 미숙으로 소기의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분양가 인하에도 불구하고 고아제2농공단지의 분양률이 저조하자 임시 화물차고지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의 설득력을 얻고 있다.
회기 때마다 논란을 불러일으켜온 위원회 구성이 또 말썽이다.
구미시 진학진로 지원센터(이하 진로센터) 운영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수억 원을 들이고도 많아야 50명 정도를 상담하는 게 문제다.
구미시의회 김정도 의원이 구미시가 특별회계 및 기금을 주먹구구식으로 운용하고 있다며, 납득할 수 있는 정비계획안을 제출할 때까지 전액 삭감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구미시의회가 전입학생에게 장학금을 지원하도록 근거를 마련하는 등 인구 증가 시책을 독려하고 있는데도 집행부가 장학금 신청자가 미미하다는 이유로 2024년 예산을 감액 편성해 논란이다.
구미시가 상가 임차인이 안정적인 영업활동을 할 수 있도록 착한 임대인을 지정해 육성 지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기준 완화로 온누리가맹점 등록 확대와 상인조직 구성 촉진 등을 통한 지역상권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구미시가 로봇산업을 육성하는 법적 근거를 마련하게 됐다. 장미경 의원이 대표발의한‘구미시 로봇육성 및 지원에 관한 조례안’은 지난 10월 임시회에 상정됐으나 일부 의원들이 반론을 제기하면서 보류됐다.
구미시의회가 인사청문회를 도입한다. 인사청문 대상은 지방공단의 이사장, 출자·출연의 장인 ▲구미전자정보기술원장 ▲재)구미시 장학재단이사장 ▲재)구미먹거리통합지원센터장 ▲구미도시공사 사장 ▲구미문화재단 대표이사가 해당된다.
기금 50억, 시비 100억 등 150억 원 규모의 사계절 전천후 시설 육상전지 훈련장인 에어돔 시설이 가시권 안에 들어왔다.
지난 10월 회기에서 보류한‘드론 특별자유구역 운영 민간위탁 동의안’이 지난달 28일 구미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의 문턱을 진통 끝에 넘어섰다.
구미시 공단동 도시혁신지구 조성을 위해 산단혁신과가 제출한 300억 원 규모의 지방채 발행 동의안이 지난달 28일 구미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의 문턱을 넘어섰다.
구미시가 특정 계층을 대상으로 대상포진과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접종을 연차적으로 지원한다.
각 지자체가 관광산업 활성화의 답을 내실있는 축제로부터 찾고 있는 가운데 구미시가 낭만축제위원회 운영을 통해 출구를 모색하기로 했다.
구미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는 지난 달 28일 김정도 의원이 대표발의한 이러한 내용의 ‘구미시 청소년 수련시설 설치 및 조례일부 개정 조례안’을 원안가결했다.
구미시가 외부 인구 유입지원센터를 설치하거나 관련한 법인과 기관 단체를 지원센터로 지정해 운영할 수 있게 된다.
학교 실정에 부합한 지원 방안을 마련해 운동부 학생 등 최저학력 미달 학생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통합신공항 건설 과정에서 경북도가 대구시에 끌려다니고 있다는 지적이다. 주도권을 상실할 경우 공항 건설에 따른 도내 시군의 수혜가 반감될 수밖에 없다는 이유에서다.
김천시는 30일, 김천시청 2층 회의실에서 삼성물산 건설부문, 한국수력원자력㈜, LS Electric㈜, 한국석유공사, 수소에너지네트워크㈜, 한국전력기술㈜, S-Fuelcell㈜와 공동으로 ‘그린수소 생태계 활성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