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 부적합’ 장애인 화장실 213개 중 실제 개선은 10개뿐
장애인 화장실 아예 없던 18개 건물 중 3개 건물만 새로 설치
유기홍 의원 “장애인 이동권 제약 심각, 서울대가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경북정치신문=국회 이관순 기자] 서울대 장애인 화장실 개선이 4.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장애인 화장실이 없다고 지적된 건물 18개 동 중 3개 동 개선에 그치는 등 장애인 이동권이 심각하게 제약을 받고 있다는 지적이다.
유기홍 의원(국회 교육위원장)이 서울대로부터 제출받은 ‘장애인 화장실 개선 현황’에 따르면 2018년 서울대 인권센터에서 진행한 ‘장애인 이동환경 실태조사’ 이후 시설 개선이 이루어진 장애인 화장실은 10곳에 불과한 실정이다. 당시 장애인 화장실 242개 중 213개가 ‘사용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것에 비하면 매우 적은 숫자다. 또한 당시 18개 동 건물에 장애인 화장실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으나 이후 장애인 화장실이 추가로 설치된 건물은 이 중 3개 동 뿐이다.
![]() |
↑↑ 유기홍 의원/ 사진 = 유기홍 의원실 제공 |
서울대가 장애인 이동권 확보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 것은 화장실뿐만 아니다. 실례로 서울대학교 학생회관의 일부 층은 계단만 있어 휠체어로 접근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그 때문에 지난 9월 학생들이 엘리베이터 설치를 요구했지만, 학교 당국은 “학생회 차원에서 추가적으로 관련 자료를 준비해오면 추가 논의를 진행하겠다”고만 답변했다.
유 의원은 이와 관련 “서울대학교 내에 장애인 구성원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장 기본적인 생활공간 중 하나인 화장실이 사용 부적합하거나 아예 없는 것은 이동권을 제약하는 심각한 문제”라며 “서울대학교가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한 학내 환경 개선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서울대뿐 아니라 다른 대학들의 현황도 파악하고 개선하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 덧붙였다.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